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영어통번역학과 교수이다. <2016 중앙일보 대학평가: 논문의 질로 따진 40세 미만 연구자> 평가에서 인문학 분야 1위로 선정되었다.
, <동원교육상>, <한국통역번역학회 최우수논문상> 등을 수상했으며, 80편이 넘는 논문과 『노트테이킹 핵심기술』, 『생각을 키우는 번역학 수업』, 『K 문학의 탄생』(공동 편저) 등을 출간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한국문학 번역, 젠더 번역, AI 통번역 담론, 통역 평가 등이 있다.
『국제회의 통역사를 위한 노트테이킹 핵심기술』은 필자의 통역 강의록을 기반으로 작성한 실무용 전공교재이며, 국내에서 발간된 저서 가운데 노트테이킹을 가장 상세하게 다룬 책이다. 『노트테이킹 핵심기술』은 수십 년간 유럽 등에서 전수되어 온 노트테이킹 기술을 소개하고 필자가 체득한 한국 맥락의 기술도 담고 있다. 비록 이 책은 영한통역을 기준으로 하고는 있지만 다른 언어 전공자에게도 유용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통역 전공자뿐만 아니라 각종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개정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노트 결과물을 제시함으로써 이론적 논의에 현실감을 더했다. 특히 일부 이미지는 통역 수업에서 구한 실제 노트이기 때문에 순차통역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유용한 사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새로 추가된 는 국제회의 통역사 두 명의 노트 결과물과 그 해설을 담고 있어 기존 교재나 이론서가 보여주지 못한 노트의 ‘실제’를 확인시켜 줄 것이다. 둘째, 필자의 강의 내용과 국내외 학술논문을 참고하여 이론을 보강하였다. 즉, 필자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수업에서 종종 언급했던 내용을 추가하였고, 최근 몇 년 사이에 발행된 노트테이킹 논문을 검토하여 의미 있는 사례를 수록하였다. 셋째, 국내 현실과 관련된 내용을 부각하였다. 일부 독자들도 알고 있듯이 노트테이킹과 관련된 기존 이론은 주로 유럽 중심의 관점으로 구성되어 왔다. 따라서 이번 개정판에서는 국내 학부와 대학원의 노트 사례를 추가하여 영한통역의 맥락을 강조하였다.
끝으로 본 개정판을 위해 힘써 주신 분들께 감사 인사를 드리고 싶다. 먼저, 노트테이킹과 관련해 아낌없는 조언과 실례를 제공해주신 이준호, 홍설영 교수님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또한 초판의 부족한 부분을 일깨워 준 한국외국어대학교 EICC학과 학생들과 교수님들께 감사의 뜻을 표한다. 특히 자신의 노트를 흔쾌히 제공해 준 K1, K2, L, P에게 고개 숙여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이 분들이 없었다면 본 개정판의 출간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2019년 5월 8일
저자 이상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