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카르트는 1596년 3월 31일 프랑스 라에에서 태어났다. 10세 때인 1606년에 라 플레슈에 새로 생긴 예수회 학교에 입학하여 18세인 1614년에 졸업한 후 푸아티에 대학에 입학하여 법학과 의학을 공부하고 1616년에 법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유럽의 여러 지역을 여행하다가 1618년에 네덜란드로 가서 모리스 드 나소가 지휘하는 군대에 입대한다. 이때 네덜란드의 의학자이자 수학자인 이삭 베크만을 만나 음악과 수학적 자연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고, 이를 계기로 오랫동안 수학을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1618년 최초의 저술인 『음악 개론』(라틴어)을 베크만에게 헌정한다. 1619년에 독일 울름 근교에 주둔하는 동안에 꾼 세 개의 꿈을 통해 보편학의 정립에 대한 영감을 얻는다. 데카르트는 1618/1619년부터 1629년까지 『정신 지도를 위한 규칙들』(라틴어)을 집필하지만 미완으로 남겼다. 이 작품은 1701년에 출판되었다. 하지만 출판 이전에도 로크나 라이프니츠 같은 철학자들은 그것을 필사본으로 읽었고, 라이프니츠는 『정신 지도를 위한 규칙들』의 필사본을 남기기도 했다. 데카르트는 1633년에 세상에 내놓는 첫 작품으로 『세계론』(원제 『빛에 관한 논고』, 프랑스어)을 출판하려 했으나 갈릴레이의 유죄 판결 소식을 듣고 지동설을 주요 내용으로 한 이 책의 출판을 포기한다. 이 작품은 데카르트 사후인 1664년에 출간되었다. 같은 시기에 집필된 『인간론』(프랑스어)은 1662년에 출간되었다. 통상 이 두 작품을 묶어 『세계』라 부른다. 잘 알려진 『방법서설』을 서문으로 「해석 기하학」과 「굴절 광학」과 「기상학」(프랑스어)을 묶어 『이성을 올바르게 사용하여 과학에서 진리를 찾는 방법에 관한 서설』(프랑스어)로 1637년에 출간한다. 1641년에는 『성찰 — <성찰>에 대한 학자들의 반론과 데카르트의 답변』(라틴어)의 초판이, 1642년에는 정본으로 인정되고 있는 두 번째 판이 출간된다. 1644년에는 데카르트의 자연 철학과 형이상학을 집대성한 『철학의 원리』(라틴어)가, 1649년에는 정념에 대한 자연주의적인 설명을 담고 있는 『정념론』(프랑스어)이 출간된다. 1649년 가을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의 초청을 받아 스톡홀름으로 간 데카르트는 이듬해인 1650년 2월 11일 그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데카르트의 유명한 명제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는 다른 모든 명구들과 마찬가지로 그 의미를 분명하게 새기기 어렵다. 이는 데카르트 철학 일반의 특징을 잘 대변해 주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데카르트는 근대 철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이 명칭은 긍정적이며 사실에 부합한 평가이지만, 우리는 왜 데카르트가 근대 철학의 ‘어머니’가 아니라 ‘아버지’라고 불리는지에 대한 ‘억측’을 통해 데카르트 철학을 특징지을 수 있다. 데카르트는 후대 철학자들에게 감당하기 어려운 많은 철학적 문제들을 유산으로 남겼다. 그런데 그 과정이 얄궂다. 데카르트가 그러한 문제들을 정식화하고 제기하고 대면한 이유는 그것들이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는 사실에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데카르트 스스로는 그 문제들을 해결했다고 믿었기 때문에 평안을 누렸겠지만, 데카르트 이외의 그 누구도 데카르트가 올바른 해결책을 제시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결국 데카르트는 후대 철학자들에게 골치 아픈 철학적 과제들을 남겨 주었던 셈이다. 데카르트가 근대 철학의 아버지라 불리게 된 것이 이 때문이라는 ‘억측’은 우리의 정서에 보다 잘 부합하지 않을까?
데카르트 철학 일반에 접근하는 좋은 방법은 『방법서설』을 읽는 것이다. 이에 이의를 제기할 학자들은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방법서설』은 데카르트가 가장 큰 애착을 가졌던 작품인 『세계』를 간접적으로나마 세상에 소개하고자 하는 의도로 집필한 작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데카르트 시대에는 ‘철학’과 ‘자연학 혹은 자연 과학’이 서로 독립된 분과로 존재하지 않았다. 데카르트는 일반적으로 ‘철학’이라는 말로써 ‘자연학 혹은 자연 과학’을 가리켰고, ‘형이상학’ 이라는 말로써 오늘날의 ‘철학’을 가리켰다. 오늘날 우리가 일반적으로 의미하는 과학의 개념이란 근대 과학 혁명을 통해 태동한 새로운 과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이 새로운 과학을 최전방에서 주도하고 이끌었던 철학자가 바로 데카르트였다. 새로운 과학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로크로 인해 유명해진 말을 빌리자면, “제1성질과 제2성질의 구분”이다. 간단히 말하면 우리가 물질 대상으로부터 지각하는 성질들 가운데, 수학을 적용할 수 있는 계량 가능한 개념(제1성질)만을 이용하여 만든 이론이 자연 현상을 훨씬 더 잘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 그 기본 이념이다. 이후 과학이 급속도로 발전해 오는 과정에서 여러 개념의 변화가 있었지만, 그 기본 이념만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고도의 추상적인 개념들을 사용한 이론들에 이미 익숙해져 있다. 자서전적 성격을 띠고 있는 『방법서설』을 통해 독자는 데카르트가 어떤 사유 과정을 통해 그러한 새로운 과학 이념에 도달하게 되었는지를 되짚어 볼 수 있다. 『방법서설』은 데카르트가 관심을 가졌던 자연 철학적인 문제들과 형이상학적인 문제들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을 제시해 줄 뿐만 아니라, 그 둘 간의 관계에 대한 그의 입장을 분명히 알려 주기 때문이다. 이견을 제기하는 소수의 학자들이 있지만, 데카르트에게 있어서 자연 철학과 형이상학이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긴밀한 관계라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른 한편 『방법서설』은 데카르트가 자신이 학문을 어떻게 수행해 왔는지, 그 과정과 방법에 대한 설명도 담고 있다. 『방법서설』을 자신의 연구 성과물인 「해석 기하학」과 「굴절 광학」과 「기상학」의 서문으로 삼아 함께 출판한 이유 가운데 하나가 자신이 따른 방법론의 중요성과 실효성을 입증하기 위함이었다. 따라서 데카르트의 방법에 대한 설명은 독자들에게 하나의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데카르트가 제시하는 방법이, 데카르트가 주장하듯 실제로 그 성과물들과 관련이 있는지 없는지, 그리고 있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관련이 있는지는 당시에서부터 오늘날까지 여전히 커다란 논란거리이긴 하지만 말이다. 『방법서설』은 또한 독자에게 몇 가지 형이상학적인 주제를 고민거리로 남겨 줄 것이다. 꿈 논증에 의거한 회의주의 문제와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가 가지고 있는 의미와 그 역할, 신 존재 증명의 문제, 사유 실체로서의 비물질적인 영혼과 육체의 구분 등이 그것이다. 다른 한편, 자연 과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독자는 데카르트가 자연 과학과 관련해서 어떤 성과를 제시했는지 궁금해질 수 있다. 그렇다면 이제 다음 단계로 넘어갈 차례이다.
|
데카르트는 자연 과학과 관련하여 어떤 성과를 제시했는가? 이에 관심이 있는 독자에게 『세계』를 권한다. 독자는 이 책에서 제일 먼저 제1성질과 제2성질의 구분을 뒷받침하는 논거들을 접하게 된다. 데카르트는 모든 자연 현상을 물질들의 운동, 크기, 모양 그리고 그 부분들의 배열로서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놓는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것이 물질의 운동을 지배하는 법칙들로, 그는 관성의 법칙과 운동량 보존 법칙, 그리고 모든 운동은 원리적으로 직선 운동이라는 세 가지 법칙을 제시한다. 데카르트에 따르면 신은 처음에 세계를 진공이 존재하지 않는 하나의 물질로 창조한 후, 그 부분들을 다양하게 운동하게끔 만들었다. 위의 세 법칙은 그렇게 가해진 운동을 지배하는 법칙이며, 카오스에서 시작한 세계가 그 법칙에 따라 변화하면서 도달한 결과가 오늘날의 세계이다. 『방법서설』 5부에서 그가 이전에 집필했던 『세계론』에 관해 설명하며 암시하듯이, 인간 이외의 모든 생명체들 역시 그러한 카오스에서 시작된 물질 운동 ? 위의 법칙들에 따른 ? 의 결과물인 자동 기계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인간 존재의 탄생에 관해서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주지하다시피 데카르트는 인간을 가리켜 연장이 본질인 물질과 사유가 본질인 비물질적 정신의 결합체라고 주장한다. 그러면 그러한 데카르트의 우주론이 최초 인간의 탄생까지도 설명할 수 있을까? 직관적으로 이는 불가능해 보인다. 데카르트 철학의 문제점은 흔히 논의되듯 연장 실체와 사유 실체가 어떻게 결합될 수 있고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데 놓여 있는 것이 아니라, 그의 우주론이 최초 인간 존재의 탄생을 설명할 수 없다는 데 놓여 있다. 이는 동물로서의 인간을 물리?생리학적으로 다루는 『인간론』이나 정념에 대한 자연주의적인 설명을 담고 있는 『정념론』의 문제와는 본질적으로 전혀 다른 문제이다. 식물이나 동물이 정교한 기계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단지 자신이 같은 방식으로 설명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하나 때문에 인간만은 예외로 둔다는 것은 어떠한 형태의 심신 이원론이나 어떠한 형태의 관념론보다 우리를 더 당혹스럽게 만들 수 있다. 데카르트를 물리주의자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소수이긴 하지만 존재하는 까닭이 바로 이 때문이다. 참고로 필자는 그런 학자들과 입장을 달리한다.
|
|
|
칸트는 『순수 이성 비판』의 초판 서문을 이렇게 시작한다. “인간 이성은 한 가지 종류의 인식과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운명에 처해 있다. 인간 이성은 자신의 본성에 의해 제기되는 것이기 때문에 결코 외면할 수 없는 문제들과 씨름하지 않을 수 없는데, 그 문제들은 인간 이성의 능력을 넘어선 것들이기 때문에 이성이 결코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 그가 처한 운명이다.” 칸트가 여기서 염두에 두고 있는 문제들은 흔히 우리가 형이상학적인 문제라고 생각하는 바로 그러한 것들이다. 즉, 신의 존재 여부, 인간 영혼의 불멸성, 우주의 기원과 끝 등을 말한다. 이 가운데 신의 존재 여부 그리고 비물질적인 영혼의 존재와 불멸 가능성이 데카르트가 『성찰』을 통해 해결하고자 시도한 문제들이다. 데카르트가 『성찰』에서 신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그리고 영혼과 신체의 구분을 증명하기 위해 제시한 논증들이 타당하고 건전한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그러한 시도가 우리에게 던지는 중요한 의문이 있다. 만일 신이 존재한다면, 그리고 비물질적인 영혼이 존재하며 불멸한다면, 그것들은 어디에 존재하는 것인가? 유신론자든 아니든 직관적으로 우리는 신이 다른 물질 대상들과 마찬가지로 시공간 안에 존재한다고 생각하기 어렵다. 영혼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렇다면 신의 존재 증명이나 비물질적인 영혼의 존재와 그 불멸성에 대한 증명이라는 것이 과연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 유신론 대 무신론의 논쟁과 무관한 물음이다 ?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이런 물음을 적극적으로 제기하고 고민한 학자가 칸트였다. 따라서 『성찰』을 읽고 형이상학적인 주제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게 된 독자들에게는 『칸트의 순수 이성 비판』 B판의 서문을 읽어 보기를, 그런 후 『성찰 ? <성찰>에 대한 학자들의 반론과 데카르트의 답변』을 읽어 보기를 권한다. 이후에도 여전히 형이상학적 주제에 관심을 유지하는 독자들에게는 스티븐 호킹의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1장과 마지막 장을 추천한다. 이때, 독자 자신은 왜 그 문제에 관심이 있는지를 생각해 보면서 읽어 보기를 바란다. 그리고 필자는 독자가 이 모든 독서 후에도 칸트의 주장이 옳다는 생각을 유지하게 되기를 기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