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서양철학 로드맵

eBook으로 보기 저자별 추천 목록 다운로드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 ~1940
발터 벤야민의 삶: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유대계 지식인이자 비평가 발터 벤야민은 1892년 베를린에서 태어났다. 빌헬름 제국 말기의 계급적 갈등을 직접 경험하지 않고 유복한 시민 가정의 보호막 안에서 유년기를 보내다가 청년기에 자신이 속한 계급의 고루한 도덕과 억압적 사회 구조를 체험하며 강한 거부감을 느낀다. 당시 청년 운동에 고무된 그는 대학에 진학하여 학생회에서 활발하게 활동한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이 터지자 전쟁에 열광하는 사회 분위기에 환멸을 느끼고 청년 운동에 등을 돌린다. 학업에 전념하고자 스위스로 피신한 그는 1919년 「독일 낭만주의의 예술 비평 개념」으로 베른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다. 그 뒤 대학에 자리를 잡으려 하지만 실패하고 자유 기고가이자 번역가로 활동하기 시작하면서 잡지와 신문에 다양한 글을 발표하는가 하면 『독일 비애극의 원천』과 아포리즘 모음집 『일방통행로』를 출간한다. 1933년 나치가 집권하자 파리로 망명한 그는 사회 연구소(프랑크푸르트학파)를 이끌던 테오도르 W. 아도르노와 막스 호르크하이머의 지원을 받아 생계를 이어 가면서 『사회 연구지』에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 작품」과 「보들레르의 몇 가지 모티프에 관하여」와 같은 분량이 큰 에세이들을 발표한다. ‘19세기의 원사(原史)’를 구성하고자 한 『아케이드 프로젝트』는 1940년 나치를 피해 프랑스에서 미국으로 탈출하던 중 스페인 국경 도시 포르부에서 자결로 삶을 마감할 때까지 13년간 매달린 프로젝트로서 미완의 대작으로 남는다. 벤야민은 생전에 거의 무명의 작가였다. 그가 널리 읽히기 시작한 것은 사후 30년이 지난 68혁명 무렵부터였다.

발터 벤야민의 사상:

벤야민이 청년기부터 품었던 생각은 위기에 처한 유럽 문화를 유대 정신으로 완성하고 구제하는 일이었다. 이러한 생각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혼란기를 거쳐 파시즘이 등장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전야에 유럽 문화의 파국적 몰락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죽음을 맞을 때까지 변하지 않는다. ‘정치적인 것으로의 전환’을 이룬 1920년대 중반부터 그는 초기의 형이상학적·신학적 사유를 역사적 유물론의 사유와 결합한 독특한 사유를 펼친다. 그러나 초기의 글들에도 후기에 전유한 유물론적 사유의 맹아들이 이미 다분히 함축되어 있다. 대학에 자리를 잡으려던 계획이 무산된 뒤 글쓰기가 유일한 생존 수단이 된 그가 취한 입장은 그 자신의 표현대로 ‘좌파 아웃사이더의 입장’, ‘문학 투쟁의 전략가’였다. 이러한 비판적 입장의 바탕에는 그 무렵 지식인들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에 대한 냉철한 성찰이 깔려 있다. 이때 그는 자신이 지향하는 유물론을 ‘인간학적 유물론’으로 특징짓는데, 1920년대 이후 프랑스의 초현실주의 운동에서 영감을 받은 이러한 방향의 사유가 훗날 그의 사상이 거듭 주목받게 되는 요인이 된다. 그가 생전에 교류한 사람은 아도르노, 에른스트 블로흐,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 베르톨트 브레히트 등이다. 특히 아도르노는 벤야민의 후배이자 친구로서 훗날 그의 정신적 유산을 관리하게 된다. 아도르노는 벤야민의 유대 정신을 지켜 주는 보루였던 또 다른 친구 게르숌 숄렘과 함께 벤야민의 『편지 선집』과 『발터 벤야민 전집』을 출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생전에 20세기 독일어권 최고의 비평가라고 자처하기도 하고, 비범한 사변적 능력과 고도의 문학적 문체가 결합된 많은 비평문을 남긴 벤야민은 문예학, 예술학, 미학, 철학, 인류학, 사회학, 정치학, 매체 이론 등의 분야의 후학들뿐 아니라 아니라 작가, 예술가, 영화감독들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초기의 벤야민에게 비평의 기관은 철학이었지만, 이후의 글쓰기는 고도의 정치적 실천의 의미를 띤다.

발터 벤야민, 단계별 읽기:
step1,2,3 step1 step2 step3